학생부종합전형은 활동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이지만, 내신은 여전히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학종은 내신이 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오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내신의 영향력과 기준을 자세히 정리해봅니다.
학생부종합전형 내신의 실제 영향력
내신 등급 | 상위권 대학 합격 가능성 | 설명 |
---|---|---|
1.0 ~ 1.5 | 매우 높음 | 기본 경쟁권, 활동이 좋으면 합격 가능성 매우 높음 |
1.6 ~ 2.0 | 가능성 있음 | 전공 관련 활동이 뛰어나면 보완 가능 |
2.1 ~ 2.5 | 낮지만 불가능 아님 | 특수 전형, 고교 유형, 활동 스토리가 강하면 예외적 합격 가능 |
2.6 이상 | 매우 낮음 | 대부분 탈락, 단 특기자 성격의 활동이 있을 경우 예외 가능 |
내신은 필터링 요소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내신은 정량 평가가 아닌 정성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경쟁률이 높은 대학일수록 일정 등급 이하의 내신은 1단계 서류평가 대상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상위권 대학의 경우 보통 1.5등급 이내가 안정권입니다.
더 많은 입시 전략 바로보기고교 유형에 따라 다른 내신 해석
고교 유형 | 내신 해석 방식 |
---|---|
일반고 | 등급 중심으로 정직하게 비교 |
자사고, 특목고 | 등급보다 과목 이수 수준과 세특을 중심으로 평가 |
예고, 체고 등 | 내신 영향 적고 실기 및 활동이 더 중요 |
주요 대학 내신 기준선 예시
대학 | 일반고 내신 기준선 (학종) |
---|---|
서울대 | 1.2 ~ 1.5 |
연세대 | 1.3 ~ 1.7 |
고려대 | 1.4 ~ 1.8 |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 1.5 ~ 2.0 |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 1.7 ~ 2.2 |
마치며
더 많은 입시 전략 바로보기학생부종합전형 내신은 단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높은 내신은 기본 경쟁력을 갖추는 데 매우 중요하며, 전공 관련 활동과 학교생활의 진정성이 이를 뒷받침해줄 때 최종 합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내신과 비교과 활동을 균형 있게 준비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