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오일을 교체하려 할 때 마주하는 첫 번째 고민은 바로 합성유냐, 광유냐입니다. 가격도 다르고, 성능도 다르다는데 도대체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엔진오일 종류별 차이와 선택 팁을 정리해 드립니다.
목차
합성유 vs 광유 비교표
구분 | 합성유 (Synthetic Oil) | 광유 (Mineral Oil) |
---|---|---|
제조 방식 | 화학적 정제 및 첨가제 혼합 | 원유 정제 후 기본 첨가 |
점도 유지력 | 우수 (고온·저온에서도 안정) | 불안정 (온도 변화에 취약) |
수명 | 길다 (최대 1만~1.5만km) | 짧다 (보통 5천~7천km) |
엔진 보호 | 우수 (슬러지 방지, 마모 감소) | 보통 (장시간 사용 시 슬러지 가능) |
가격 | 높음 | 저렴함 |
권장 대상 | 고출력, 고속주행, 터보차량 등 | 일반 시내주행 차량 |
합성유가 좋은 이유는?
합성유는 고온에서도 점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저온에서도 빠르게 엔진에 도달하여 시동 시 마모를 줄여줍니다. 또한 불순물이 적어 엔진 슬러지 생성이 적고, 오일 수명도 깁니다. 고성능 차량, 수입차, 터보 엔진 차량에는 합성유 사용이 사실상 필수입니다.
광유는 왜 아직도 사용될까?
광유는 제조 단가가 낮아 가격이 저렴합니다. 차량을 자주 교체하거나, 짧은 거리만 운행하는 사용자라면 가성비 면에서 충분히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단, 교체 주기를 철저히 지켜야 슬러지나 엔진 마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실제 선택 기준은?
- 장거리 주행 많다 / 터보 차량 / 고속주행 잦다 → 합성유
- 도심 단거리 운행 위주 / 연간 주행거리 적다 → 광유도 가능
- 중간 선택지로 ‘부분합성유’도 있음 (가성비형)
마무리
엔진오일은 차량 성능과 엔진 수명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단순히 가격만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본인의 운전 스타일과 차량 특성을 고려해 **합성유 또는 광유 중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별 자동차 와이퍼 종류 및 차이점 (0) | 2025.05.13 |
---|---|
엔진오일 교환 안하면, 오래되면 증상 및 문제점 (0) | 2025.05.13 |
엔진오일 인증 등급 완벽 정리: API, ILSAC, ACEA 기준 (0) | 2025.05.13 |
자동차 감가상각 계산기 - 잔존가치 계산 (1) | 2025.05.02 |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1)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