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내신이 5등급제로 바뀌면서, 내신 2등급이 어느 정도 수준이고 인서울 대학 진학이 가능한지 궁금해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5등급제 기준에서 2등급의 의미와 인서울 가능성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5등급제 등급 비율
5등급제의 2등급은 누적 상위 비율 34% 입니다. 과거의 3.5등급과 비슷하죠. 인서울을 하기 위해서는 9등급제 기준 최소 25% 정도의 성적이 필요했기 때문에 내신 외 다른 활동도 고민해보아야 합니다. 내신 등급 계산기에 학년 전체 인원을 입력하면 2등급에 필요한 석차가 계산 됩니다.
등급 | 백분율 | 누적 상위 비율 | 의미 |
---|---|---|---|
1등급 | 상위 10% | 상위 10% | 최상위권 |
2등급 | 다음 24% | 상위 34% | 상위권 |
3등급 | 다음 32% | 상위 66% | 중위권 |
4등급 | 다음 24% | 상위 90% | 하위권 시작 |
5등급 | 하위 10% | 하위 10% | 최하위 |
5등급제 2등급으로 인서울 가능할까?
5등급제의 2등급은 높지도 낮지도 않은 등급입니다. 범위가 넓어졌기 때문에 9등급제의 3.5등급까지가 5등급제의 2등급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등급은 애매하고 다른 부분을 강화해야 합니다.
학생부종합전형 (학종)
- 내신 외에 비교과 활동(세특, 동아리, 봉사 등) + 자소서 + 면접까지 종합 평가
- 내신 2등급이면 경쟁력 있음
- 학종으로 도전 가능한 인서울 대학: 국민대, 동국대, 홍익대, 숭실대, 세종대, 서울과기대 등
논술 전형
- 내신 영향 적고, 논술 실력 + 수능 최저 충족이 핵심
- 논술 준비 잘하면 상위권 대학도 가능
- 도전 가능한 대학: 중앙대, 경희대, 성균관대, 외대, 건국대 등
학생부교과전형 (교과)
- 내신이 가장 중요
- 2등급이면 비인기학과나 소규모 모집 학과 공략 필요
- 지원 가능한 대학: 서울여대, 명지대, 상명대, 동덕여대, 한성대 등
전형별 요약 정리
전형 | 2등급의 전략 |
---|---|
학생부종합전형 | 비교과 충실하면 경쟁력 높음 |
논술 전형 | 내신 부담 적고, 논술 실력만 있으면 기회 많음 |
교과 전형 | 비인기 학과 위주로 노리면 가능성 있음 |
마치며
5등급제에서 2등급은 상위 34% 이내로, 결코 낮은 등급은 아니지만 높은 등급도 아닙니다. 다만, 전형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해요. 학종/논술/교과 중 자신에게 맞는 방향을 선택하고, 꾸준히 준비하면 인서울 대학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습니다!
추천글